[스크랩] 우리만의 소리 100가지 우리만의 소리 100가지 (동영상) ※ 귀한 자료입니다.하나식 클릭하여 들어 보세요 †사랑과은혜의쉼터:cafe.daum.net/odumaczip 1. 고드름 낙수 소리 2. 얼음장 밑으로 물 흐르는 소리 3. 동굴 낙수 소리 4. 여름 폭포 소리 5. 몽돌 파도에 휩쓸리는 소리 6. 대나무 부딪히는 소리 7. 천둥 소리 8. 장마 비바람 소리 .. 아름다움 2010.02.25
[스크랩] 5주년 블로그 생활기록부 촘배님, Daum 블로그가 시작한 지 5주년이 되었습니다. 2006년 02월 24일 개설하신 후 1462일을 함께 해주셨습니다. 감사드립니다. 1462 개설일 2006년 02월 24일 오전 09:34 이었습니다. 첫 글 행복이란.. / 2007년 03월 11일 오전 09:55 첫 댓글 촘배님 "최고의 아름다움입니다,ㄱ ㅅ ㅎ ㅇ ." 첫 방명록 CLUB_DAY 님 "[무담.. 카테고리 없음 2010.02.25
[스크랩] 한국속담 1000가지 한국속담 1000가지 계집 바뀐 건 모르고 젓가락 짝 바뀐 건 안다 고기는 씹어야 맛이요 말은 해야 맛이라 나룻이 석 자라도 먹어야 샌님 거미는 줄을 쳐야 벌레를 잡는다 거지도 손 볼 날이 있다 게으른 선비 책장 넘기기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 바다는 메워도 사람의 욕심은 다 못 채운다 바보는 죽어.. 세상 견문 2010.01.20
[스크랩] 나이별 호칭 ☆ 나이별 호칭(呼稱) ☆ 명 칭 ... 연령... 의미 지학(志學) 15세 학문에 뜻을 두는 나이 약관(弱冠) 20세 남자 나이 스무살을 뜻함 이립(而立) 30세 모든 기초를 세우는 나이 불혹(不惑) 40세 사물의 이치를 터득하고 세상일에 흔들리지 않을 나이 상수(桑壽) 48세 상(桑)자를 십(十)이 네 개와 팔(八)이 하나인.. 세상 견문 2010.01.20
[스크랩] 결혼기념일 을 나타내는 漢字語(한자어) 結婚記念日(결혼기념일)을 나타내는 漢字語(한자어) 紙婚式 (지혼식) : 1주년 藁婚式 (고혼식) : 2주년 糖菓婚式 (당과혼식) : 3주년 革婚式 (혁혼식) : 4주년 木婚式 (목혼식) : 5주년 花婚式 (화혼식) : 6주년 電氣器具婚式(전기기구혼식) : 8주년 陶器婚式 (도기혼식) : 9주년 錫婚式 (석혼식) : 10주년 鋼鐵婚.. 세상 견문 2010.01.20
[스크랩] 속담풀이 <가> [ 가 ] ▶가갸 뒷자도 모른다. 글자를 모르는 무식한 사람을 비웃는 말. 〓기역자 왼 다리도 못 그린다.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목불식정目不識丁. 어로불변魚魯不辨. ▶가게 기둥에 입춘立春. 격에 맞지 않는다는 뜻. 〓개 발에 놋대갈. 거적 문에 돌쩌귀. 방립方笠에 쇄자刷子질. 사모에 갓끈이라. .. 세상 견문 2010.01.20
[스크랩] 속담풀이 <나> [ 나 ] ▶나간 놈의 몫은 있어도, 자는 놈의 몫은 없다. 활동하는 이에게는 몫이 돌아 가도 활동하지 않는 사람에겐 돌아가지 않는다는 뜻. 〓『나간 놈 적신 시어도 자는 놈 적신 읏나.』《제주도》 ▶나갔던 며느리 효도孝道한다. 시집살이가 싫다고 집을 나갔던 며느리가 되돌아와서는 시부모께 더 .. 세상 견문 2010.01.20
[스크랩] 속담풀이 <다> [ 다 ] ▶다 가도 문턱 못 넘기. 마지막 끝맺음을 못하여 헛수고했다는 뜻. 〓밤새도록 가도 문 못 들기. ▶다 된 농사에 낫 들고 덤빈다. 일이 다 끝난 뒤에 쓸데없이 시비를 걸고 덤빈다는 뜻. 〓굿 뒤에 날장구 친다. 굿 뒤에 쌍장구 친다. 굿 마친 뒷장구. ▶다 된 죽에 코 빠졌다. 다 된 일을 망쳐 놓았.. 세상 견문 2010.01.20
[스크랩] 속담풀이 <마> [ 마 ] ▶마디에 옹이. 나무 마디 있는데 옹이까지 있다는 말이니 어려운 일이 겹쳤다는 뜻. 〓달걀에 유골有骨. 고비에 인삼. 기침에 재채기. 하품에 딸꾹질. ▶마루 넘은 수레 내려 가기. 고개 마루를 넘어선 수레처럼 일이 쉽게 잘 되어 갈 때, 또는 걷잡을 수 없이 빠른 형세를 말한다. ▶마른 나무에 .. 세상 견문 2010.01.20
[스크랩] 속담풀이 <바> [ 바 ] ▶바꾼 것이 떡 군 것만 못하다. 바꾼 것이 아니 바꾼 것만 못하다는 뜻. 〓밥 군 것이 떡 군 것보다 못하다. ☆'바꾼'의 발음이 '밥군'과 비슷하기 때문에 생긴 말 ▶바늘 가는 데 실 간다. 항상 따라 다닌다는 뜻. 〓구름 가는 데 비 간다. 범 가는 데 바람 간다. 봉 가는 데 황이 간다. 용 가는 데 구.. 세상 견문 2010.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