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생각 군인

최고의 전투력 창출을 위한 주기훈련계획

촘배 2009. 1. 26. 06:29

대대 주기훈련계획이란 1주기 동안 대대가 훈련해야 할 제반 교육훈련과
부대운용이 망라된 종합적인 훈련계획이다. 그러나, 기존의 주기훈련계획은
작성양식이 제한되어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계획 반영이 곤란함에 따라 예하
부대 훈련에 대한 통제와 효율적인 훈련지원이 미흡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양식과 포함 내용을 전면 개선하여
전 부대에 동일 적용하였다. 즉 전 주기 교육훈련 결과 취약과목(제)을 분석
하여 훈련소요를 도출하고 해당 주기의 상급부대 통제훈련을 기초로 부대별
임무, 특성, 훈련장 여건 등을 고려하여 월·주단위 및 일자별 훈련내용을
구체화하되 오전, 오후, 야간으로 구분 반영하였으며 훈련과목과 교관을
망라한 간부 교육계획과 연중 지속적이고 균형된 탄종별 교탄 사용계획을
포함함은 물론 주요 훈련과 연계된 사전 부대운용 토의 계획을 추가 반영
하여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사전 분석식·연동식 개념으로 작성함으로써
제대별 훈련 적용 및 통제가 용이하도록 체계를 확립하였다.


부대훈련관리란 지휘관 및 참모가 훈련을 계획하고 준비하여 실시 및 평가
하는데 따른 조직적인 활동과정을 말하며, 이러한 과정은 그 부대의
임무, 편성 또는 특성에 구애됨이 없이 모든 부대에 적용된다. 지휘관이 자기
부대를 훈련시키려면 먼저 부대의 임무를 분석하여 훈련계획을 수립하고, 훈련을
준비하며, 준비된 훈련을 실시하고, 훈련실시 결과 제시된 훈련목표의 도달여부를
평가하는 합리적인 관리기법을 적용해야 한다.
특히, 이 중에서도 계획단계는 지휘관이 자기 부대를 훈련시키기 위하여
부대의 임무를 분석하여 훈련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으로 부대훈련관리의 가장
기초가 되는 단계이다. 따라서 부대의 임무와 예하부대의 요구에 부합되고, 훈련

저해 요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가용시간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주도면밀하게 작성해야 한다.
계획단계에서는 부여된 훈련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단 부대훈련지시
→ 연대 연간훈련계획 → 대대 주기훈련계획 → 중대 월간훈련계획 → 주간 훈련
예정표 등 각종 계획을 수립하게 되는데 이 중 연간훈련계획, 주기훈련계획〈그림
1〉, 월간훈련계획은 교범(야교 25–10 교육훈련관리, pp.부3–6~부3–14 참조)
에서 제시된 내용대로 작성하여 적용할 수도 있으나, 이 세 가지는 상급부대
계획을 기초로 개략적으로 작성하기 때문에 양식이나 내용 면에서 별차이가
없으며, 중대 주간 훈련예정표가 작성되는 훈련실시 2주전까지는 그 부대가
구체적으로 어떤 훈련을 실시할 것인가를 알 수 없고 월간훈련계획이나 주간
훈련예정표를 작성하면서 변경소요가 과다하게 발생하게 된다.

그림 1. 􄦤�􄦤�대대 2주기 훈련계획:기존


구 분 일
7 8 11 12
27 28 29 30 31 32 46 47 48 49 50 51 52
2
7
9
14
16
21
23
28
30
4
6
11
12
17
19
24
26
1
3
8
10
15
17
22
24
29
상 급 부 대
통 제 훈 련
공용
화기
자격
사격
사단
야외
기동
부대
훈련
1 중 대
개인훈련
분·소대
전술훈련
중대
전술 공용
화기
집체
교육
자격
사격
사단
야외
기동
훈련
2 중 대
3 중 대 중대
전술
4 중 대 장비위주집체 훈련지원
본부중대 주특기훈련 실무훈련
주요
부대
활동
인 사 태권도승단 연말
회의
정 보
작 전 전투력측정
기 타 생 략
간부
교육
소집교육 위관 부사관
정과
교육
가용
시간 8H 6H 12H 32H 12H
참모 지휘관/참모 훈련통제 사격통제/지형정찰 훈련준비
기타 생 략
교탄
사용
계획
K–2
보통 2,500 2,500 20,000 1,500
공포 1,000 1,000 10,000 1,000
기 타 생 략


또한 대대 주기훈련계획은 사전 교육훈련 성과분석을 통하여 훈련소요를
판단한 후 훈련 가용요소 및 자원을 도출하여 그 결과를 주기훈련에 반영하여야
하나 지금까지는 이러한 절차 적용이 다소 간과되었으며, 상급부대 통제 훈련
위주의 주기훈련계획 반영으로 예하부대가 훈련해야 할 소부대 교육훈련 내용에
대한 반영은 구체적이지 못했다. 또한 예하부대에 대한 교육훈련 확인 및 통제와
효율적인 지원이 제한되었으며, 병과 및 기능별 통합훈련계획을 수립하는데도
다소 미흡하였다.
따라서 대대급 훈련관리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주기 훈련계획을 구체적으로
작성한다면, 중대급에서는 월간훈련계획이나 주간훈련예정표 작성시 불필요한
행정소요 감소와 계획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고, 대대급 교육훈련을 가장 효율적
으로 실시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면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주기
훈련계획 양식과 작성절차를 보완하여 제시하였다.
주기훈련계획은 대대장이 상급부대 지침, 부대임무, 전 주기 교육훈련 결과
(취약분야)를 기초로 이번 주기에 무슨 훈련을 어떻게 실시할 것인가를 구체적
으로 작성하는 것으로 대대장의 주기훈련복안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대대장은
대대 및 중대가 무슨 훈련을 어떻게 실시할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주기훈련계획을 작성하고, 연대장 및 사단장은 이를 확인 및 검토하여, 자신의
의도에 부합되는가? 그 대대의 임무에 맞는가? 취약한 분야를 보완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는가? 실천 가능한 계획인가? 등을 검토해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주기훈련계획은 교범에 제시된 절차(야교 25–10, pp.2–140~2–145)대로
작성하는 것이 타당하지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좀 더 구체적이고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기훈련계획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부대
임무, 상급부대 계획과 지침, 대대의 전 주기훈련 성과분석 등을 기초로 하여
“무엇을, 어떻게 훈련시킬 것인가?”하는 훈련소요(취약과제와 과목)를 결정하고,
훈련장 여건 등을 고려하여 연동식 개념을 반영하여 작성하게 된다.
먼저 훈련 유형별 색상을 통일하여 병과 및 기능별로 연계성 있는 훈련이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전술훈련시 사전 충분한 협조를 통해 지원, 배속부대
까지 통합된 훈련이 반영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주기훈련계획에는
주차별로 훈련을 판단하여 기록하였으나 아래 그림과 같이 훈련 판단내용을
일자별로 세부화함으로써 상급부대 통제훈련시에도 예하부대는 자체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일일훈련을 시간 단위로 구분하며 훈련을 위한 준비 및
부대관리시간도 망라하여 작성토록 함은 물론 주단위 집중훈련 가능 주에 실시
하는 야간교육도 전반야, 후반야, 철야 등 유형별로 구분 반영함으로써 야간
훈련체계 정립과 정비체계를 구축하였다.
간부교육은 부대운영과 훈련주기를 고려하여 주요훈련 및 작전에 대한 선
간부 교육이 될 수 있도록 대상별, 직책별로 교육내용을 구체화하여 반영하였
으며, 연간 교탄사용 현황도표와 연계한 탄종별 주단위 교탄사용계획을 반영함
으로써 교육훈련 및 부대운영과 연계된 교탄사용계획 수립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부대운영과 훈련의 상호 연계성 측면에서 교육훈련 관리절차에 의해
단계별(계획-준비-실시-평가)로, 각급 제대별로 훈련을 계획하고 준비 및 실시
하는 업무체계를 다음 그림과 같이 반영함으로써 상·하 제대간 연동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그림 2. 일일 시간단위 구분 작성
구분
월 6월
주 23주 24주 25주 26주
일 3~8 10 11 12 13 14 15 17~22 24~29
상급부대통제
훈련(시간)
(휴일:시간)
유격훈련
(36)
(현충일:8)
대대전투지휘훈련
(24)
대대
전술훈련
(44)
대대
주요
훈련
내용
(가용시간) 유격훈련 병기본훈련
/위험성 교탄 시범식 교육 소대전술훈련 대대
전술훈련
1


주요훈련
유 격
훈 련
(36)
분대전술훈련 소대전술훈련
대 대
전 술
훈 련
지휘관시간
정비
지휘관 지휘관 지휘관 내무
/
병영
지휘관 지휘관 지휘관 지휘관
정비 군장
오전 정신 검사
교육
분대
전술
과제
(6)
부대
관리 부대
관리
(저3)

기본
훈련
(6)
정신
교육 소대
전술
(7)
오후 전투
체육
분대
전술 전투
체육
소대
전술
지휘관시간 지휘관 지휘관 지휘관 지휘관 지휘관
전반야 소대
전술
후반야
또한 비고란에는 대대훈련 총가용시간과 유형별(병기본훈련, 주특기훈련,
전술훈련 등) 훈련시간, 주단위 집중훈련 가능 주, 교탄 종류별 인가 및 사용계획
등을 종합하여 주기 내 제반 훈련소요를 망라하여 한 눈에 알아보고 판단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이는 주기훈련계획을 작성하면서 해당 주기에 실시할 훈련
내용을 사전에 분석식으로 작성함으로써 전체 주기훈련을 균형되게 실시하고,
주기훈련에 대한 성과분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림 4〉
구분
월 6월
주 23주 24주 25주 26주
일 3~8 10 11 12 13 14 15 17~22 24~29
생 략
간부
교육
참 모
지휘통제 기구훈련 대대 전투지휘훈련
중 대 장
소 대 장
적 특수작전부대 위협 장애물 설치요령
부 사 관
교탄
사용
계획
K–2보통탄 1,800
K–2공포탄 1,800 600
생 략
81M—고폭탄 16
90M—고폭탄 3
교육
훈련
관리
훈련복안서하달
부대운영토의 􄦤� 􄦤�
실습계획표작성 􄦤� 􄦤�
훈련임무브리핑 􄦤�
월간훈련계획 􄦤�
주간훈련예정표 􄦤� 􄦤� 􄦤�
교탄결산 􄦤� 􄦤�
사후검토 􄦤� 􄦤�
성과분석 􄦤� 􄦤� 􄦤�
그림 3. 간부교육, 교탄사용계획, 교육훈련관리 절차 작성

이와 같이 개선된 주기훈련계획을 적용한다면 훈련실시 결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분석과 이를 토대로 한 훈련 자원 소요 판단을 주기훈련계획에 반영할
수 있으며, 상급부대 통제훈련을 포함하여 누락요소를 방지하여 추가적인 보완
및 수정소요를 감소시킴으로써 체계적인 훈련통제 및 실시가 가능하고 제병협동
훈련 여부 확인이 가능하여 예하부대에 대한 훈련통제가 용이하고, 교육훈련
수준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기 말에 훈련성과분석을 실시할
때도 제시한 주기훈련계획양식에 의거하여 훈련의 실시여부만 확인하면 바로
성과분석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주기훈련계획은 대대장을 중심으로 중대장들이 자기 중대의 훈련
계획을 세부적으로 포함시키고, 이를 토의 및 보완하여 완성한 다음, 연대장이
확인하고, 사단장이 교육사열을 통하여 검토해 준다면 가장 완벽한 주기훈련
계획이 될 것으로 판단되며, 중대의 월간훈련계획과 주간훈련예정표 작성은
주기훈련계획의 해당 내용을 그대로 옮겨 놓으면 되는 것이다.
그림 4. 비고란 작성
구분
월 6월
비 고
주 25주 26주 (계)
일 17~22 24~29
상급부대통제
훈련(시간)
(휴일:시간)
대대전투지휘훈련
(24)
대대전술훈련
(44)
대대
주요
훈련
내용
(가용시간) 대대전술훈련 주단위 집중 가용주
12주
1


주 요
훈 련 소대전술훈련
대 대
전 술
훈 련
중대훈련가용시간:417
주단위 집중:7
(전반야3, 후반야1, 철야3)
개인훈련:207
(조건:18)
사격:18
분대전술:78
소대전술:82
중대전술:30
지휘관 지휘관 지휘관 지휘관
정비 군장
검사
오 전
부대
관리

기본
훈련
(6)
정신
교육
소대
전술
(7)
오 후 전투
체육
(4)
소대
전술
지휘관 지휘관 지휘관
전반야 소대
전술
후반야
소대전술훈련
일부에서는 앞서 제시한 대로 주기훈련계획을 작성하면 교범 내용과 차이가
있고, 작성하는데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변경
소요가 더 많이 발생하지 않느냐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최초 작성할
때만 조금 더 노력을 한다면 크게 부담은 되지 않을 것이며, 작성한 후에는 행정
능력이 없는 중대에서 월간훈련계획이나 주간훈련예정표를 작성할 때 시간과
노력, 행정소요를 줄일 수 있으므로 더욱 효율적이라 판단된다.
그러므로 상급부대에서 연간 훈련계획과 부대운영계획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여
조기에 하달해 주고, 대대장은 이를 기초로 대대가 해당 주기에 실시해야 할
훈련과 부대운영을 꼼꼼하게 챙긴다면 오히려 변경소요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급부대에서도 천재지변 등을 제외한 변경지시 하달을 최소화한다면, 대대에서는
부득이한 경우 이외에는 변경소요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중대에서 월간훈련
계획이나 주간훈련예정표를 작성하는 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앞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주기훈련계획은 대대장이 해당 주기에 자기 대대를
어떻게 훈련시킬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주기훈련복안이라 할 수 있다.
즉, 대대장의 훈련에 대한 관심도와 복안이 담겨 있는 대대훈련관리의 기초
문서이다. 그렇기 때문에 주기훈련계획에는 대대장의 교육훈련에 대한 혼과
개념이 스며들어 있으면서도 다른 사람들이 보았을 때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체적
으로 작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시된 예문을 참고하여 다음 주기훈련계획을
보완하거나 추가로 작성한다면 훈련관리의 기본제대인 대대급 훈련관리를 표준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훈련관리 수준을 한 단계 격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